복지/생활 정보

2026 차상위계층 조건 및 신청 방법, 혜택 (소득 재산 자동차 차상위자활 한부모가족)

2026 차상위계층 조건 및 신청 방법, 혜택 (소득 재산 자동차 차상위자활 한부모가족)
2026 차상위계층 조건 및 신청 방법, 혜택 (소득 재산 자동차 차상위자활 한부모가족)

2026년 기준중위소득이 6.51% 인상되면서 차상위계층의 선정 기준과 지원 혜택도 함께 확대되었습니다. 차상위계층은 기초생활수급자 바로 위의 소득계층으로,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6년 차상위계층의 소득, 재산, 자동차 기준과 차상위자활, 한부모가족 등 주요 유형별 조건, 신청 방법, 받을 수 있는 모든 주요 혜택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2026 차상위계층

2026 차상위계층4인가구 3,247,369 원 이하
온라인 신청홈페이지 (바로 연결)

차상위계층이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기초생활수급자)는 아니지만, 기준중위소득의 일정 비율 이하에 해당하는 저소득층을 말합니다. 정부는 차상위본인부담경감, 차상위자활, 차상위장애인, 차상위계층 양곡할인, 한부모가족 등 다양한 복지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6년 차상위계층 소득 기준

차상위계층의 소득 기준은 복지사업별로 다르지만, 대표적으로 기준중위소득 50%~120% 이하인 경우가 많습니다.
2026년 기준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원수1인2인3인4인5인6인
기준중위소득(100%)2,564,2384,199,2925,359,0366,494,7387,556,7198,555,952

주요 복지사업별 차상위계층 소득 기준(2026년)

구분기준중위소득 비율1인2인3인4인5인6인
차상위본인부담경감50% 이하1,282,1192,099,6462,679,5183,247,3693,778,3604,277,976
차상위자활50% 이하1,282,1192,099,6462,679,5183,247,3693,778,3604,277,976
차상위장애인50% 이하1,282,1192,099,6462,679,5183,247,3693,778,3604,277,976
차상위계층 양곡할인50% 이하1,282,1192,099,6462,679,5183,247,3693,778,3604,277,976
한부모가족60% 이하1,538,5432,519,5753,215,4223,896,8444,534,0315,133,610
우선돌봄80% 이하2,051,3903,359,4344,287,2295,195,7906,045,3756,844,762
청소년증120% 이하3,077,0865,039,1506,430,8437,790,6869,067,96310,267,142

※ 복지사업별로 선정 기준이 다를 수 있으니, 해당 사업의 공고문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2026 차상위계층 재산 기준

  • 대도시: 2억 1,000만원 이하
  • 중소도시: 1억 3,000만원 이하
  • 농어촌: 1억 1,000만원 이하
    (2026년 기준, 일부 사업별로 다를 수 있음)
  • 재산에는 주택, 토지, 건물, 예금, 주식, 자동차 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 금융재산(예금, 적금, 보험, 주식 등)은 2,000만원 이하(일부 사업은 1,0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 부채는 일부만 공제되며, 실제 심사 시에는 부채 증빙서류가 필요합니다.

2026 차상위계층 자동차 기준

  • 자동차 기준
  • 가구 전체가 보유한 자동차의 합산가액이 2026년 기준 약 3,500만원 이하(승용차 기준)여야 합니다.
  • 1가구 1차량 원칙이며, 2대 이상 보유 시 원칙적으로 제외됩니다.
  • 다만, 장애인용 차량, 생업용 차량, 국가유공자 차량 등은 예외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 자동차 가액 산정 시, 자동차보험개발원에서 고시하는 차량가액 기준표를 적용합니다.

2026 차상위계층 신청 방법

  1.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신분증, 소득·재산 관련 서류(필요시), 가족관계증명서 등 준비
  1. 복지로(www.bokjiro.go.kr) 온라인 신청
  1. 소득·재산·자동차 조사
  • 국민건강보험, 금융, 부동산, 자동차 등 정부 시스템을 통해 조사
  1. 선정 결과 통보
  • 기준 충족 시 차상위계층 확인서 발급 및 복지 혜택 안내

2026년 차상위계층 주요 혜택 총정리

건강·의료 분야

  • 차상위본인부담경감대상자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경감(외래·입원 진료비 감면, 약제비 감면 등)
  • 국가건강검진 무료
    국가에서 실시하는 건강검진 무료 또는 감면
  • 암·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
    차상위계층 암환자, 희귀질환자 의료비 지원(본인부담금 일부 또는 전액)
  •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
    장기지속형 주사제 본인부담률 인하(2026년 2% 적용)

교육·자녀 분야

  • 교육비 지원
    초·중·고 교육비(입학금, 수업료, 교과서비, 급식비, 방과후학교비 등) 지원
  • 교육급여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차상위계층 자녀에게 교육활동지원비 지급
  • 국가장학금
    대학생 국가장학금(기준중위소득 200% 이하까지 가능, 차상위계층 우선 지원)
  • 청소년증 발급 및 교통비·문화비 할인
  • 아이돌봄서비스 우선 지원 및 본인부담 경감

주거·생활 분야

  • 주거급여
    임차가구 임대료 지원, 자가가구 주택수선비 지원
  • 에너지바우처
    전기·가스·연탄 등 에너지요금 지원(동절기, 하절기)
  • 통신비 감면
    이동전화 기본료 및 통화료 감면(월 최대 26,000원)
  • TV수신료 면제
  • 공공요금 감면
    상하수도,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 일부 공공요금 감면

생활안정·기타

  • 양곡할인
    정부양곡(쌀) 할인 구입(10kg 2,000원 등)
  • 문화누리카드
    연간 1인당 12만원 상당의 문화·여행·체육 활동비 지원
  • 국민연금 보험료 지원
    국민연금 보험료 일부 지원(최대 9만원/월)
  • 긴급복지지원
    위기상황 발생 시 생계·의료·주거·교육 등 긴급지원 우선 대상
  • 자활근로사업
    자활근로, 직업훈련, 창업지원 등 취업·자립 지원
  • 장애수당 및 장애아동수당
    차상위장애인에게 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 지급
  • 한부모가족 지원
    아동양육비, 학용품비, 주거비 등 지원
  • 임신·출산 진료비 바우처
    임신·출산 진료비(국민행복카드) 우선 지원

기타 지자체별 추가 혜택

  • 교통비 지원(버스·지하철 할인, 무료 이용 등)
  • 문화·체육시설 이용료 감면
  • 공공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 무료 또는 할인
  • 지방자치단체별 추가 생활비, 명절지원금 등

2026 차상위계층 관련 유의사항 및 문의

  • 차상위계층은 복지사업별로 선정 기준이 다르므로, 반드시 해당 사업의 공고문을 확인하세요.
  • 소득·재산·자동차 기준 모두 충족해야 하며, 변동 시 자격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상담은 거주지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129)에서 가능합니다.
  • 지자체별로 추가 지원사업이 있을 수 있으니, 거주지 주민센터에 문의하시면 더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2026년 기준중위소득 인상으로 더 많은 분들이 차상위계층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하시고 혜택을 보시기 바랍니다.

자주하는 질문(FAQ)

Q1. 차상위계층과 기초생활수급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기초생활수급자는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를 받는 최저소득층이고, 차상위계층은 그보다 소득이 약간 높은 계층으로, 다양한 복지사업의 지원을 받지만 기초생활보장급여는 받지 않습니다.

Q2. 자동차가 2대 있으면 무조건 탈락인가요?
A. 원칙적으로 1가구 1차량만 인정되며, 2대 이상 보유 시 제외됩니다. 단, 장애인용·생업용·국가유공자 차량 등은 예외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Q3. 재산 기준을 넘으면 소득이 낮아도 차상위계층이 안 되나요?
A. 네, 소득과 재산, 자동차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하며, 하나라도 초과하면 선정이 어렵습니다.

Q4. 차상위계층 신청은 온라인으로도 가능한가요?
A. 네,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차상위계층 신청 바로가기

Q5. 차상위계층 확인서는 어디서 발급받나요?
A. 거주지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을 수 있으며, 복지로 홈페이지에서도 온라인 발급이 가능합니다.

Q6. 차상위계층 혜택은 자동으로 주어지나요?
A. 아니요, 반드시 신청 후 심사를 거쳐야 하며, 선정되면 각종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Q7. 한부모가족도 차상위계층에 포함되나요?
A. 네, 한부모가족도 소득·재산 기준을 충족하면 차상위계층으로 인정받아 관련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Q8. 차상위계층 자격은 매년 재심사하나요?
A. 네, 소득·재산·자동차 등 변동사항이 있을 경우 정기적으로 재심사가 이루어집니다.

궁금한 점이 더 있다면 언제든 문의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