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생활 정보

국민의힘 경선 중계 일정 결과 대통령 후보 국힘 (김문수 홍준표 유승민 한동훈 안철수 나경원 오세훈)

국민의힘 경선 중계 일정 결과 대통령 후보 국힘 (김문수 홍준표 유승민 한동훈 안철수 나경원 오세훈)
국민의힘 경선 중계 일정 결과 대통령 후보

2025년 대선을 앞두고 국민의힘의 경선 일정과 후보 선출 과정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민의힘 경선 방식과 일정, 그리고 과거 경선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 국민의힘 경선 중계 일정 결과 대통령 후보 국힘 (김문수 홍준표 유승민 한동훈 안철수 나경원 오세훈) 등 자세히 알아볼게요.

2025년 대선 일정

2025년 21대 대선6월 3일
사전투표 장소 찾기홈페이지 (바로 연결)
후보자 공약홈페이지 (바로 연결)

2025년 21대 대통령 선거는 6월 3일 본선거가 이루어 집니다. 상세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대선 후보 결정: 5월 초에 국민의힘과 민주당의 대선 후보가 결정됩니다. 이는 각 당의 경선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국민의힘은 전당대회를 통해 최종 후보를 선출합니다.
  • 선거운동 시작: 5월 12일부터 본격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됩니다. 후보들은 전국을 돌며 유권자들에게 자신의 정책과 비전을 설명하고 지지를 호소합니다.
  • 사전투표: 5월 29일 ~ 5월 30일에 사전투표가 진행됩니다. 사전투표는 유권자들이 본 투표일에 투표할 수 없는 경우 미리 투표할 수 있는 제도로, 많은 유권자들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대통령 선거일: 6월 3일 (화요일)에 대통령 선거가 실시됩니다. 이 날은 전국의 유권자들이 투표소에 나와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에게 한 표를 행사하는 중요한 날입니다.
  • 당선자 취임: 선거 다음 날, 당선자는 간소한 취임식을 통해 공식적으로 임기를 시작합니다. 이번 대선은 탄핵 후 치러지는 선거로, 당선자는 즉시 임기를 시작하게 됩니다.

국민의힘 경선 중계

국민의힘 경선 중계는 아래 링크를 통해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의힘의 경선 방식은 당내 민주주의를 강화하고 국민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경선은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1. 1차 컷오프: 여론조사 100%로 4명의 후보를 선정합니다. 이 과정은 국민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국민이 원하는 후보를 선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2. 2차 컷오프: 여론조사 50%와 당원투표 50%로 2명의 후보를 선정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당원들의 의견도 반영되어, 당내 지지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3. 최종 경선: 여론조사 50%와 당원투표 50%로 최종 후보를 선정합니다. 최종 후보는 전당대회를 통해 결정되며, 대선에서 국민의힘을 대표하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은 당원 투표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당내 인기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특히, 당원들에게 인기가 높은 후보가 최종 후보로 선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민의힘 경선 일정

국민의힘의 경선 일정은 4월 22일에 1차, 4월 22일에 2차 컷오프 후 5월 3일에 전당대회를 통해 최종 후보가 결정됩니다.

  • 경선 후보자 등록: 4월 14일 ~ 4월 15일에 후보자 등록이 진행됩니다. 이번 경선에는 10명 이상의 후보가 등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4명 경선 후보 선출: 4월 22일 (화요일)에 여론조사 100%로 4명의 후보가 선출됩니다. 이 과정은 국민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한 것입니다.
  • 2명 경선 후보 선출: 4월 29일 (화요일)에 당원투표 50%와 여론조사 50%로 2명의 후보가 선출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당원들의 의견도 반영되어, 당내 지지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 대선 후보 선출: 5월 3일 (토요일)에 전당대회를 통해 최종 후보가 선출됩니다. 이 과정은 여론조사 50%와 당원투표 50%로 진행됩니다.

이 과정에서 김문수와 홍준표는 당원들에게 인기가 있어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당내 지지도가 높은 후보가 최종 후보로 선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들의 당내 인기도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국민의힘 경선 후보자 프로필

김문수

  • 출생: 1951년 8월 27일
  • 정당: 국민의힘
  • 주요 경력:
  • 경기도지사 (2006~2014)
  • 국회의원 (1996~2006)
  • 소개: 김문수는 노동운동가 출신으로, 경기도지사를 역임하며 경기도의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보수 진영의 대표적인 정치인으로,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취해왔습니다.

홍준표

  • 출생: 1954년 12월 5일
  • 정당: 국민의힘
  • 주요 경력:
  • 경상남도지사 (2012~2017)
  • 국회의원 (1996~현재)
  • 자유한국당 대표 (2017~2018)
  • 소개: 홍준표는 검사 출신으로, 강력한 법 집행과 보수적 정책을 지지하는 정치인입니다. 경상남도지사로서 지역 발전에 기여했으며, 대선 후보로도 출마한 바 있습니다.

유승민

  • 출생: 1958년 1월 7일
  • 정당: 국민의힘
  • 주요 경력:
  • 국회의원 (2005~2020)
  • 바른정당 대표 (2017)
  • 소개: 유승민은 경제학자 출신으로, 합리적 보수주의를 표방하며 경제 정책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활동해왔습니다. 개혁적 보수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중도층의 지지를 받기도 했습니다.

한동훈

  • 출생: 1973년 4월 9일
  • 정당: 무소속 (정치 경력 없음)
  • 주요 경력:
  • 법무부 장관 (2022~현재)
  • 검사
  • 소개: 한동훈은 검사 출신으로, 법무부 장관으로서 법치주의와 공정한 법 집행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정치 경력은 없지만, 법조계에서의 경력을 바탕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안철수

  • 출생: 1962년 2월 26일
  • 정당: 국민의힘
  • 주요 경력:
  • 국민의당 대표 (2016~2020)
  • 국회의원 (2013~2014, 2020~현재)
  •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
  • 소개: 안철수는 의사 출신의 IT 기업가로, 정치에 입문하여 중도 성향의 국민의당을 창당했습니다. 혁신과 통합을 강조하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정치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나경원

  • 출생: 1963년 12월 6일
  • 정당: 국민의힘
  • 주요 경력:
  • 국회의원 (2004~2020)
  •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2018~2019)
  • 소개: 나경원은 법조인 출신으로, 국회에서 다양한 입법 활동을 통해 보수 진영의 목소리를 대변해왔습니다. 여성 정치인으로서의 리더십을 발휘하며, 당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아왔습니다.

오세훈

  • 출생: 1961년 1월 7일
  • 정당: 국민의힘
  • 주요 경력:
  • 서울특별시장 (2006~2011, 2021~현재)
  • 국회의원 (2000~2004)
  • 소개: 오세훈은 변호사 출신으로,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며 도시 개발과 복지 정책에 주력했습니다. 서울시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며, 시민들의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이들 정치인은 각기 다른 배경과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대한민국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과거 국민의힘 경선 결과

2017년 경선

2017년 국민의힘 경선에서는 홍준표가 당내 경선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으며 김진태와 이인제를 제치고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습니다. 당시 대선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41%의 지지를 받으며 당선되었고, 홍준표는 24%의 지지를 받았습니다.

2022년 경선

2022년 국민의힘 경선에서는 8명의 후보가 경선에 참여했습니다. 윤석열 후보는 국민 여론조사에서는 홍준표에게 뒤졌으나, 당내 당원투표에서 크게 앞서면서 대선 후보로 선출되었습니다. 이처럼 국민의힘 경선은 여론조사와 당원투표의 균형을 맞추어 진행되며, 당내 인기도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무리

국민의힘의 경선은 여론조사와 당원투표를 통해 후보를 선출하는 방식으로, 당내 인기도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번 2025년 대선에서도 이러한 경선 방식이 어떻게 작용할지 주목됩니다. 국민의힘은 경선 과정을 통해 국민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고, 당내 민주주의를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경선 과정에서 어떤 후보가 최종적으로 대선 후보로 선출될지, 그리고 그 후보가 대선에서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기대됩니다.

도움되는 글

📌2025년 대선 사전투표일, 사전 투표 방법 (21대 대선 총정리)

📌2025년 대통령 선거 일정 6월 3일 투표 방법 (21대 대선 선거 투표소 찾기)

📌21대 대통령 선거 투표 나이 선거권 (만 18세 이상 기준 대선 투표 방법)

📌21대 대선 사전투표일, 사전투표소 찾기 및 방법은? (25년 대통령 선거)

📌21대 대통령 선거 공약